발굴 스토리

CHRONOLOGY

CHRONOLOGY

나니와노미야 유적에서는 1954년부터 시작된 발굴 조사를 통해 아스카시대의 나니와노미야 전기(이하 ‘전기’), 나라시대의 나니와노미야 후기(이하 ‘후기’)라는 중복된 두 시기의 궁전 유적이 발견되어 일본의 고대사를 다시 쓰는 많은 학술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지역은 오사카시의 도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적의 보존이 매우 어려웠지만, 조사의 중심이 된 야마네 도쿠타로 박사의 끈질긴 보존 운동이 결실을 맺어 현재까지 약 14.5ha가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일본의 고고 유적 가운데 도심부에 이 정도로
넓은 범위가 보존된 것은 극히 드문 사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서기(원호)
주요 사건
発掘/保存と活用

1913

태평양전쟁 전, 육군시설의 공사 현장에서 나라시대의 수막새가 발굴되어 1916년에 학회에 소개된다.

原資料:大阪城天守閣所蔵

1954

전년도의 호엔자카 주택 건설 현장에서 망새 조각이 발견된 것을 계기로 그 부근에서 1차 발굴 조사를 시작.

195768

전기·후기 모두 다이리(금중) 지구의 발굴 조사가 진행된다.

1961

후기 다이고쿠덴, 다이고쿠덴 후전 발견.

1962

후기 다이고쿠덴 유적 주변에서 정부의 합동청사 건설이 계획되어
‘나니와노미야 터를 지키는 모임’이 발족하여 보존 운동을 전개.

1964

후기 다이고쿠덴인과 다이리 정전의 범위가 국가사적으로 지정(제1차 지정).

1969

전기 동방 간가(관아) 지구의 건설 계획과 관련해서 유적 보존의 재판.
1979년에 화해.

1970

후기 다이고쿠덴의 전면 발굴 조사.

197176

후기 다이고쿠덴인의 사적 정비.

1974

다이리 지구를 횡단하는 한신 고속도로의 고가를 지상으로 내리도록 계획 변경. 중추부의 유구가 보존된다.

1976

다이리와 조도인이 국가사적으로 추가 지정(제2차 지정).

1986

나니와노미야 후기의 조도인 일부를 국가사적으로 추가 지정(제3차 지정).

1987

전기 다이리 서방 간가, 고분시대의 대규모 창고군(호엔자카 유적) 발견. 보존 운동이 전개된다.

1993

전기 궁성 남문(‘스자쿠몬’) 발견.

1997

전기 다이리 서방 간가의 북서쪽에서 석축 수리 시설을 발견.

1999

‘戊申年(무신년)(648년)’이 표기된 목간이 궁역
서북부의 골짜기에서 출토.

公益財団法人
大阪府文化財センター提供
(原資料:大阪府教育委員会所蔵、大阪府指定文化財)

2001

전기 다이리 서방 간가와 고분시대 창고군의 발견에 의해 국가사적으로 추가 지정(제4차 지정). 사적 명칭이 나니와노미야 유적 부 호엔자카 유적으로 변경. 오사카 역사박물관 개관.

2005

조도인의 동부, 다이리 지구의 서부가 국가사적으로 추가 지정(제5차 지정).

2005·06

전기 동방 간가 지구 동북부에서 누각풍 건물을 발견.

2007

위의 성과에 의해 동방 간가 지구 동북부가 국가사적으로 추가 지정(제6차 지정).

2013

전기 동방 간가 지구의 남반부가 제7차 지정.

2022

‘나니와노미야아토 공원 Park-PFI 프로젝트’가 시작.

2023

전기 다이리 후전의 북쪽에 새로운 구획의 존재를 확인.

株式会社島田絁E撮影

提供元記載の無い写真は一般財団法人大阪市文化財協会提供

나니와노미야 유적 사적 지정 범위와 연도

PAGETOP